공연소개

  • NO IMAGE
  • 페이스북 트위터

S 정기연주회

KBS교향악단 제671회 정기연주회

일시 2012년 6월 21일(목) 20:00 2012년 6월 22일(금) 20:00
장소 KBS홀 예술의전당
가격 R 60,000원 | S 50,000원 | A 40,000원 | B 30,000원 | C 20,000원
 

 

1.jpeg

 

제671회 _ 아마데우스 VS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교향곡 제39번과 c단조 대미사

 

지휘 l 함신익 2.jpg

 ? 이스트만 음대 월터 하겐 지휘상 및 라이스대 쉐퍼드 소사이어티상 수상

? 제4회 피델버그 국제지휘콩쿠르 입상
? 1995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 1997년 미국교향악단협회 선정‘가장 주목받는 지휘자’
? 브장송, 아비뇽오케스트라, 제네바오케스트라, 상하이오페라하우스, 북서독일필하모니오케스트라,

   멕시코국립교향악단 외 다수 지휘
? EU가 후원하는 Philharmonia of the Nations 유럽순회연주
? KBS 교향악단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소프라노 l 김영미 

?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 석사 졸업, 베로나콩쿠르, 푸치니콩쿠르, 마리아 칼라스 국제성악콩쿠르,

  파바로티 국제성악콩쿠르 1위
? <사랑의 묘약> 아이다, <라 트라비아타> 비올레타, <라 보엠> 미미 등 주연
?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악과 교수

 

메조소프라노 l 서은진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독일 칼스루에국립대학원 및 최고 연주자과정(KE) 수석
? 알렉산더 기라르디 국제성악콩쿠르, Kammeroper Schloss Reinsberg 콩쿠르 입상
? 독일 뉘른베르크 현대오페라단에서 메조소프라노로 주연 데뷔
? 현재 연세대학교, 총신대학교 출강

 

테너 l 김세일

? 로마 산타체칠리아음악원 졸업, 스위스 제네바음악원 연주자 디플로마, 취리히 음악대학 독주자 디플로마와

  음악가 칭호 획득
? 2007-2008년 네덜란드 오페라스튜디오 정식 단원
? 니콜라이 겟다, 프랑코 코렐리 등 사사
? 아테네 마리아칼라스 콩쿠르 2위, 오사카 슈베르트 국제콩쿠르 우승
? 2011, 201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선정 차세대 예술인

 

베이스 l 한명원 

? 한국예술종합학교,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대 졸업
? 문화관광부 선정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잔 프랑코 마지니 국제 콩쿠르, 자코모 아라갈 국제 콩쿠르,
  부세토 베르디 국제 콩쿠르 1등, 벨베데레 국제 콩쿠르 3등
등에서 주역가수로 유럽에서 활동 중
? 안드레아 보첼리 독창회 초청 연주
? 조수미&위너스 오페라 갈라 콘서트 등 다수 콘서트 출연

 

합창 l 연합합창단

프로그램
모차르트 / 교향곡 제39번 E플랫 장조 K. 543
모차르트 / c단조 대미사 K. 427

 

모차르트/교향곡 제39번 E플랫 장조 K. 543 W.A. Mozart/Symphony No. 39 in E-flat Major K. 543
1788년에 작곡된 모차르트 최후, 최고의 완숙한 교향곡으로 일컫는 3곡의 교향곡(39번, 40번, 41번) 중에서 첫 번째 곡으로, 밝고 청량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서주가 있는 소나타 형식의 1악장, 노래하는 2악장, 우아하고 경쾌한 미뉴엣과 트리오의 3악장, 그리고 다시 빠르게 도약하는 4악장으로 구성된다.


모차르트/c단조 대미사 K. 427 W.A. Mozart/The Great Mass in c minor K. 427
1781년에서 1791년, 모차르트가 잘츠부르크를 떠나 빈에서 지내면서도 꾸준히 교회 음악을 썼음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1783년에 키리에, 글로리아,상투스, 베네딕투스는 이미 완성해 두었고, 나머지 크레도와 아뉴스데이는 모차르트의 다른 작품에서 보충해서 연주하며,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