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09.01 [뉴시스] 후지타 마오, '농익은 순수'로 거장 정명훈과 세대 초월한 교감[객석에서]

  • 2025-09-01
FILE :




후지타 마오, '농익은 순수'로 거장 정명훈과 세대 초월한 교감[객석에서]


20대 마오·70대 정명훈이 만들어낸 선율

마오, 소년미 뒤에 숨겨진 혼신의 연주

정명훈, '피아노 후배' 흐뭇하게 바라봐

KBS 교향악단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서울=뉴시스]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제817회 정기연주회' 연주 모습. 일본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와 한국 클래식계 거장 지휘자 정명훈이 호흡을 맞췄다. (사진=KBS교향악단 제공) 2025.09.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기용 기자 = '동양의 모차르트'로 불리는 일본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27)는 순수하고 앳된 소년미를 가장한 '농익은' 연주를 선보였고, 이를 세계적 거장 정명훈(72)은 흐뭇하게 바라봤다.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제817회 정기연주회'는 모차르트의 선율로 물들었다.

 

2017년 클라라 하스킬 국제 콩쿠르 우승, 2019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2위 등을 기록하며 일본 차세대 피아니스트 떠오른 마오는 이날 공연에서 정명훈의 지휘 아래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제25번'을 연주했다.

 

모차르트가 남긴 27곡의 피아노 협주곡은 대체로 맑은 음색을 바탕에 두고 정갈하게 다듬어진 아기자기한 분위기라면, 이 곡은 마치 베토벤을 연상케하는 폭발적이고 웅장한 표현력이 돋보인다.

 

1악장은 정명훈의 지휘 아래 플루트, 오보에, 바순 등 관악기의 화려하고 힘찬 선율이 돋보였다. 긴 서주(序奏)가 마무리되려던 찰나, 이전까지여유롭고 차분히 감상 모드로 있던 마오가 돌연 음악과 혼연일체로 녹아들었다.  부드럽고 가벼운 타건(打鍵)은 오케스트라 연주에 녹아들었고, 빠르고 섬세함을 지켜내면서 자신 만의 색을 보였다.

 

[서울=뉴시스]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제817회 정기연주회' 연주 모습. 일본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와 한국 클래식계 거장 지휘자 정명훈이 호흡을 맞췄다. (사진=KBS교향악단 제공) 2025.09.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1악장 마무리 직전 마오의 독주는 눈부셨다. 마오는 집중된 관객들의 시선을 즐기면서도 쉴 새 없이 음을 몰아쳤다. 대체로 강렬한 연주가 시선을 압도하지만, 마오는 음 본연의 맑고 투명함을 앞세워 관객들을 포섭(包攝)했다.

 

작품 중 가장 느린 2악장은 오케스트라와 피아노의 합(合)이 돋보였고, 3악장에서는 두 주체가 멜로디를 주고받으며 점점 끝을 향해가면서 완벽한 하모니를 완성했다.

 

이날 마오는 앙코르곡으로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16번'의 1악장을 연주, 시작과 끝을 모두 모차르트로 채웠다.

 

연륜으로 젊은 피아니스트의 정열을 최대치로 끌어올린 정명훈 지휘자는 무대가 끝나자 함박웃음으로 그를 격려했다.

 

정명훈은 마오를 포옹하고, 마오는 그의 품에 안겨 감사를 표했다. 정명훈은 관객의 열띤 박수갈채가 마오를 향하도록 배려했다.

 

[서울=뉴시스]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제817회 정기연주회' 연주 모습. (사진=KBS교향악단 제공) 2025.09.0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어진 무대에서는 정명훈과 KBS교향악단이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을 연주했다.

 

애절하고 비통한 현(絃)의 울림이 작품 초반을 지배했다. 이어 점차 관악기가 들어서면서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특히 2악장은 특유의 왈츠 리듬이 돋보이면서 발랄한 하프 선율이 마치 무도회를 형상화하듯 매력적인 요소였다.

 

4, 5악장은 단연 클라이맥스였다. 4악장의 어두운 분위기에서 5악장의 관악과 현악, 종소리의 조화는 혼돈과 광란의 에너지를 극대화했다.

 

연주가 끝나자 객석에선 기립박수가 나왔다.

 

 

조기용 기자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901_0003310867